본문 바로가기
필수 생활 꿀팁

도로결빙(블랙아이스) 예방법과 사고 시 대처방법

by blueskyjiho 2022. 12. 2.
반응형

점점 날씨가 추워지는 요즘 겨울철 운전하면서 가장 조심해야 할 도로결빙(블랙아이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같이 알아보실까요?

 

도로결빙(블랙아이스)란?

추운 날씨에이나 , 먼지, 도로 기름과 썩여 얇게 얼어붙은 얼음을 뜻하는 것으로 얇고 투명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잘 확인이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무심코 지나가다가 차가 갑자기 돌아버린다던지 제동을 해야 하는 곳에서 제동이 안되고 쭉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겨버립니다.

보통 블랙아이스는 기온차가 큰 곳에서 많이 발생하며 눈을 녹이기 위해 뿌리는 염화칼슘으로 인해 얼음이 더욱 미끄러워질 수도 있습니다.

 

블랙아이스의 위험성은?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블랙아이스는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상황에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블랙아이스에 살짝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핸들 조향은 안 될뿐더러 운전자는 놀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밣아버리시는데요.

브레이크가 먹히지도 않고 계속 미끄러지며 급브레이크 시 차가 더 돌아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셔야 합니다.

특히 고속도로에서 블랙아이스를 만난다면 정말 끔찍하겠죠..

 

블랙아이스 대처방법은?

일단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서행을 하는 것입니다.

만약 멀리서 보았을 때 도로가 젖어 보인다 싶으면 천천히 운행해 차를 컨트롤할 수 있게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겁니다.

그리고 앞차와의 간격을 최대한 넓힌다음에 운전하시면 미끄러지더라도 충분한 거리가 있기에 앞 차와의 충돌을 피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엔진 브레이크를 잘 활용하시는 겁니다.

엔진 브레이크란 엔진에 마찰을 주어 브레이크를 밟는 방법입니다.

사용방법은 패들 시프트를 이용하여 이용하실 수 있으며 의도적으로 엔진의 회전율을 높여 엔진의 저항을 만들어주시면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더라도 차가 멈추게 됩니다.

그리고 스노우체인을 쓰면 제동이나 미끄럼에 방지가 많이 되어 유리합니다.

그럼 어느 지역이 가장 블랙아이스에 노출이 많이 될까요?

그늘진 곳, 교량 위, 터널 진입 전후, 산비탈

등이 있겠습니다. 이 구간들은 특히나 의식을 하고 조심히 다니시길 바라겠습니다.

 

사고 시 대처법

블랙아이스 사고 사망은 지난 5년간 706명으로 적지 않은 피해가 나오는 위험한 사고입니다.

사고가 나셨다면 일단 차량을 갓길에 정차를 시킨 후 차에서 내려 도로 밖으로 대피를 해야 합니다.

다른 차량들도 미끄러져 2차~3차 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에 상당히 위험합니다.

그리고 차량 200m 앞에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여 뒤에 차량들에서 사고 소식을 알려야 합니다.

모두 끝내셨다면 이제 한국 도로공사에 전화하여 사고 발생 위치와 사고 상황을 말씀하시고 기다리시면 됩니다.

1588-2504(한국 도로공사) 여기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끝마치며..

 

오늘은 블랙아이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들도 늘 안전 운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