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수 생활 꿀팁

겨울철 자동차 예열 후열 올바른 방법

by blueskyjiho 2022. 11.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추워지는 날씨에 맞추어 자동차 예열,  후열을 하여야 차량에 문제없이 오래오래 타고 다니실 수 있어 알려드리고자 글을 써봅니다. 같이 알아보실까요?

시작하기 전에

일단 왜? 예열과 후열을 해야 하는지를 알으셔야겠죠?

일단 시동을 켜게 되면 오일이 전체적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시동을 켜고 바로 운전을 할 시 오일이 충분히 돌아가지 못한 상태로 엔진 피스톤이 돌아가면서 마모가 일어나게 되고 무리가 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을 드라이 스타트 현상이라고 합니다.

 

그리면 후열은 왜 해야만 하는 걸까요?

이제 운전을 하고 내리셔서 보닛을 만져보면 보닛이 따듯한 걸 느끼실 수 있으신데요.

그 뜻은 엔진은 엄청 뜨겁다는 것입니다. 특히 장거리를 다니실수록 그렇습니다.

엄청 뜨거운 상태인데 후열 없이 시동을 꺼버리면 즉시 냉각장치도 꺼져버리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엔진에는 열이 지속적으로 남아있게 되어버리며 오일의 고착화소가 발생하게 되어버립니다.

그러면 실린더의 내부 압력저하밸브 밀폐력 저하 등 엔진의 성능이 줄어들게 돼버리는 겁니다.

예열하는 방법

그럼 예열과 후열의 중요성은 알았으니 이제 하는 방법을 아셔야겠죠?

자동차의 예열은 우리가 운동을 하기 전 준비운동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예열의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시동을 킨 상태로 30~1분 동안 기다렸다가 출발하시는 겁니다.

이건 차량마다 적정시간이 다르니 확인 후 예열을 하시면 되시겠습니다.

단 너무 오래 예열하는 것도 차량에 무리가 갈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후열 하는 방법

자 이제 후열의 방법입니다.

후열은 운행 중 발생한 엔진의 열기를 식혀주는 겁니다.

후열 또한 도착지에 차량을 정차 후 1분 동안 시동을 켜 놓고 기다리셨다가 엔진을 꺼주시면 됩니다.

정말 간단하지요?

끝마치며..

하지만 이 예열 후열은 간단하지만 정말 쉽지 않다고 느끼실 분들도 계실 텐데요.

1분 1초가 급한 출근길에 1분 동안 예열하기, 집에 도착에 빨리 들어가 쉬고 싶은데 1분 예열하기란  정말

성질 급한 한국인의 정서와는 동 떨어진다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마음의 여유를 조금만 가지고 예열과 후열을 꾸준히 해주신다면 나의 출퇴근을, 여행길을, 사랑하는 사람과 

안전한 운행과 차량을 오래오래 유지를 하고 이용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loading